부피 계산도 가능할까?

이전 글에서 우리는 직사각형의 넓이를 계산하는 함수를 만들어 냈습니다. 직사각형은 2차원 물체입니다. 차원을 늘려도 우리가 만든 개념을 적용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상자를 상상해보죠. 이 물체는 3차원 물체입니다. 이 물체를 구성하는 요소는 가로, 세로, 높이입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직사각형의 높이와, 육면체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가르킵니다. 약자를 다시 정리해야 할 것 같습니다. … Read more

직사각형의 넓이 계산법을 만들어보자.

일단 직사각형의 넓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부터 찾아보자. 이미 직사각형의 넓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그 사실을 잊어버리기 바랍니다. 그럼 일단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이 있다고 해보죠. 일단 약자부터 정해보겠습니다. 가로 길이의 약자는 width의 약자 w로 하겠습니다. 세로 길이의 약자는 height의 약자 h로 정하겠습니다. 이 직사각형의 가로 길이 w를 늘리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 직사각형의 … Read more

비하인드 함수

함수를 바라보는 또 다른 관점 이전 글에서 함수는 기계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수학책을 보면 함수를 집합을 이용해서 설명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함수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그림에서 함수 f는 X의 멤버들을 Y의 멤버들과 짝지어주고 있습니다. (f : X + 1)은 X와 Y의 관계를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그림을 보면 함수 f는 결국 X와 Y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X와 … Read more

수식의 발명

함수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해보자! 일단 곱하기 2 함수를 좀 더 짧고 간결하게 표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설명 ‘함수에 수를 하나 집어넣으면 2를 곱한 수가 나온다.’와 비교하면 어떤가요? 조금은 더 눈에 잘 들어오나요? 하지만 여전히 길어서 쓰기 귀찮습니다. 좀 더 줄여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건 어떤가요? 이제 쓰기 편해진 것 같습니다. ‘○를 넣으면 2 X ○가 나온다’라는 뜻도 대충 … Read more

함수에 대한 정의

함수는 기계다. 프로그램 언어관련 책에서 함수(function)에 대한 설명을 할 때, 그림과 비슷한 그림을 가지고 설명을 합니다. 그림을 보면 함수는 일종의 기계입니다. 기계는 어떤 입력(input)을 하면 정해진 대로 움직이죠. 그리고 결과물을 내놓습니다. 이것을 출력(output)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레인지는 안에 무언가를 넣으면 뜨겁게 데워져 나오는 기계입니다. 입력에 1을 더하는 프로그램이 있다고 한다면, 우리가 어떤 수를 넣던지 컴퓨터는 … Read more